2023년 장마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에는 여름도 가장 빨리 왔다고 알려졌는데요. 언제부터 장마가 시작되며 또 준비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잠시 시간을 투자하셔서 장마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관련뉴스 알아보기>
2023년 장마시작 장마기간 언제?...중부지방 평균 6월25일 시작 - 핀포인트뉴스
[핀포인트뉴스 조영미 기자] 최근 소나기가 오락가락하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2023년 장마시작과 장마기간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15일 장마 시작일 평균값은
www.pinpointnews.co.kr
2023년 올해 장마철 기간 '장마시작' 발표언제 - 국제뉴스
우리나라는 일본 장마시작에 비해 한달정도 늦다.장마는 태평양 고기압과 적도저기압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 특히, 태평양 고기압이 북상하면서 일본과 한반도 사이에서 저기압이 발생하면
www.gukjenews.com
2023 장마기간 언제부터?
올해 우리나라의 장마는 지역별로 약간씩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 6월 중순~하순 사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장마기간에 해당된느 6월과 7월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평년대비 약간 높을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네요. 6월 중순부터는 장마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평년값 날짜에 따른 예상 장마 시작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주도 : 6월 19~21일경
- 남부지방 : 6월 23~24일경
- 중부지방 : 6월 25~26일경
6월 셋째주 중반쯤되면 장마전선이 북상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아직 정확한 날짜와 상황은 알 수 없습니다. 일본의 경우 5월 29일 장마가 시작되어 많은 비가 예상되고 대기상태가 불안정함에 따라서 날씨가 급변할 것이라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2023년 장마기간 대비하기
올 여름 장마가 역대급으로 찾아올 것이라는 소식에 '레인부츠' 대란까지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폭염 뿐만 아니라 슈퍼엘니뇨가 찾아올 것이라는 보도에 장마대비를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장마기간 소소하게 대비해야 할 장마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빗물받이 관리하기
빗물받이가 막히면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비가 내릴 시 빗물이 빠져 나가지 못해 침수 피해가 심하게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받이에 담배꽁초나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빗물받이 위에 덮개를 놓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쓰레기나 낙엽들로 인해 막힌 빗물받이를 보면 시청이나 해당 행정복지센터에 알려 해결하도록 해야합니다.
습도 관리하기
장마철에는 습도 관리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문을 열어도 습하고, 닫아도 습한 장마기간 습도관리는 필수겠죠? 환풍기를 수시로 틀어서 습도를 낮춰주고 화장실을 사용 후에는 바로바로 수건으로 물기를 닦고 선풍기나 제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줘야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옷장 또한 습기 관리에 취약한 공간으로 서랍 바닥이나 옷 사이사이에 신문지를 넣어두어 습도를 조절해주도록 합니다.
엘니뇨현상이란?
2023 여름 발생할 것이라고 예보된 엘니뇨 현상이란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엘니뇨 감시구역의 수온으로 결정되는데요. 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게 5개월 이상동안 지속될 경우 그 첫 달을 엘니뇨의 시작이라고 이릅니다. 만약 평년보다 1.5도 이상 차이가 나면 '강한 엘니뇨' , 평년보다 2도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슈퍼 엘니뇨'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이죠.
우리나라의 경우 5월~7월 엘니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9~10월에는 강한 엘니뇨로 발달할 가능성도 보인다고 합니다. 엘니뇨가 발생할 경우 우리나라의 여름철인 7월~8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하여 강수량이 증가하고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가뭄의 해갈에는 도움이 되지만 많은 비로 인해 피해가 일어날 수 있어서 각별한 대비가 필요합니다.